주로 일&공부를 하며 디비에서 데이터 끌어다 화면에다가 보여주는 기능 패턴을 제일 많이 개발하는 것 같다.
이때 사용자에게 화면을 통해 보여주기 위해서는 데이터 가공이 필수적이다. 매번 이런 작업을 하며 궁금했던거..
데이터 가공은 어디에서 이뤄져야 가장 성능이 좋을까? 혹은 효율적일까?
데이터가 적을때야 크게 성능에 차이가 없다지만 데이터는 계속 쌓이는거고 어느 순간 성능에서 차이가 나는 순간이 생길텐데 나는 가장 성능 좋고 효율적인 개발을 하고싶단말야😱
항상 궁금했던건데 오늘 맘먹고 찾아서 정리해볼테다
[sql 쿼리 속도 vs Java 코드 속도 어느게 더 빠른가요?] https://okky.kr/articles/1056243
OKKY - All That Developer
OKKY는 국내 최대 개발자 지식공유 플랫폼입니다. 개발자에게 필요한 기술 Q&A, 아티클, 커리어, 네트워킹, 취업, IT행사를 지원합니다
okky.kr
[비즈니스 로직을 DB가 아닌 앱에 넣어야 하는 이유] https://www.itworld.co.kr/news/208352
비즈니스 로직을 DB가 아닌 앱에 넣어야 하는 이유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꺼내야 하는데, 이 데이터를 꺼내기 위해 여러 테이블 조인과 여러 필터 조건, 세밀한 WHERE 절이 포함된 복
www.itworld.co.kr
[웹어플리케이션 속도,비용 자바 vs 쿼리] https://okky.kr/articles/410805
OKKY - All That Developer
OKKY는 국내 최대 개발자 지식공유 플랫폼입니다. 개발자에게 필요한 기술 Q&A, 아티클, 커리어, 네트워킹, 취업, IT행사를 지원합니다
okky.kr
[SQL where 문 vs Java stream filter 성능차이에 관한 질문입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84494
SQL where 문 vs Java stream filter 성능차이에 관한 질문입니다 - 인프런 | 질문 & 답변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스프링 관련해서 프로젝트를 하다가 두 지점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쿼리를 짤 일이 생겼습니다. (예: 내 위치에서 반경 5km이내에 있는 장소들을 가져
www.inflearn.com
[DataBase의 책임 - DB는 어디까지 해줘야 하는가] https://jaehoney.tistory.com/183
Database의 책임 - DB는 어디까지 해줘야 하는가? (+ 데이터 가공, 비즈니스 로직, 계산 등)
Database의 책임 이전부터 비즈니스 로직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는 큰 관심사였다고 한다. 나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Dto 등의 책임에 대해서 자료를 많이 봤지만 "DB는 어떤 작업까지 처리하는
jaehoney.tistory.com
[3계층 아키텍처] https://www.ibm.com/kr-ko/cloud/learn/three-tier-architecture
대충 혼자 결론을 짓자면
이 외에도 추가적으로 궁금했던거 하나 더
Model에 데이터를 담아 JSTL로 화면처리하는게 더 좋을까 아님 ajax로 데이터를 가져와 js, jquery 사용해 화면에 뿌리는게 날까
JSP에서 동적태그 생성시 JSTL VS JS 사용에 관해서 https://okky.kr/articles/738972
OKKY - All That Developer
OKKY는 국내 최대 개발자 지식공유 플랫폼입니다. 개발자에게 필요한 기술 Q&A, 아티클, 커리어, 네트워킹, 취업, IT행사를 지원합니다
okky.kr
가장 와닿는 말은 렌더링해야하는 데이터가 많을때, JSTL에서는 렌더링 후 화면이 보여지기 때문에 기다리는 사용자가 봤을 때 보기 좋지 않다는 점
하지만 JS의 경우 화면 먼저 로딩 후 렌더링을 위한 로딩 이미지 진행 후 렌더링 완료 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는 점 바로 비동기적 특성!
따라서 답변 마지막처럼 변하지 않는 화면 요소는 JSTL에서 처리하고 동적인 부분은 ajax로 처리하는게 좋은 방법인 것 같다.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2) | 2023.10.14 |
---|---|
[SERVLET, JSP] 다양한 이벤트 리스너(Listener) (0) | 2022.12.27 |
[WEB] RESTful API란 (0) | 2021.08.30 |
[WEB] 템플릿 엔진이란 (0) | 2021.03.27 |
인자(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 (0) | 2021.03.20 |
댓글 영역